학수번호 | 교과목명 | 교과목명(영문) | 국문해설 | 영문해설 |
---|---|---|---|---|
EME7001 | 고급전기화학 | Advanced Electrochemistry | 리튬이온 전지, 나트륨이온 전지, 리튬황전지, Na-SO2 전지, 레독스플로우 전지, 수퍼커패시터 등 다양한 에너지 전지에 대한 원자 수준의 이해도 제고. | Atomic-level understanding of energy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y, sodium-ion battery, Na-SO2 battery, Li-S battery, redox flow battery, supercapacitor,… etc. |
EME7002 | 기능재료 | Functional Materials | 본 강의는 nano, meso, micro 등 기능 재료의 size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과 그 응용분야에 대해 논할 것이며, electronic device, electrochemical device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는 각 소재에 요구되는 특성과 달성방법에 대해 소개할 것이다. | This class covers very diverse area of materials, which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electrochemical devices, ionic devices and so on. |
EME7003 | 고급무기화학(2) | Advanced Inorganic Chemistry(2) | 고체재료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결합, 격자에너지, 전도도, 전이금속화학, 메탈로이드 금속화학, 산화환원반응, 대칭 요소 등에 대한 무기화학적 이해도 제고. | Understanding of inorganic chemistry for solid-state materials: bonding, lattice energy, conductivity, transition metal chemistry, metalloid chemistry, redox reactions, symmetry elements. |
EME7004 | 에너지재료분석특론 | Advanced Characterization Methods for Energy Materials | 이차전지와 연료전지 등의 에너지기기의 성능은 구성 재료들의 물리/화학적 구조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차세대 에너지기기의 개발을 위해서는 구성 재료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과목은 X-선 분광법과 회절법 등의 분석법을 통한 응용 분야별 에너지재료들 구조분석을 다룬다. 또한 in situ x-선 분석법 등의 최신 구조분석법에 대해서도 사례연구를 통해 이해한다. | Performance of energy devices like rechargeable batteries and fuel cells is highly correlated with chemical and physical structure of the materials used in such devices. Thu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materials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to develop advanced energy devices. This course will cover characterization tools for the energy materials using X-rays including x-ray diffraction and absorption spectroscopy. Some of advanced in situ x-ray characterization methods will also be covered. |
EME7005 | 나노소자개론 | Introduction to Nanoelectronics | 본 강의는 나노전자소자에 대해서 다룬다. 양자역학과 나노소재에 대한 소개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나노전자소자의 원리 이해를 돕고자 한다. | This lecture deals with nanoelectronic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quantum mechanics and nanomaterials, it will help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nanoelectronics. |
EME7006 | 유기일렉트로닉스2 | Organic electronics 2 | 본 교과목은 유기전자공학 중 유기박막트랜지스터의 기본적인 구동매커니즘, 소재, 공정에대해서 강의한다. 또한 관련분야의 최신 연구내용에 대해서 대표적인 연구논문을 바탕으로 상호 토론한다. | This lecture will cover the materials, process and operating mechanism of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In addition,recent representative research papers are discussed in the class. |
EME7007 | 이차전지소재특론 | Advanced materials for secondary rechargeable battery | (i) 이차전지 소재 개발의 최근 동향 파악, (ii) 이차전지 양극, 음극, 전해질 소재 개발의 최신 연구 경향성 파악, (iii) 이차전지 소재 개발 전략 연구 | (i) Recent current-edge researches concerning on secondary rechargeable battery, (ii) Recent researches concerning on cathode, electrolyte, and anode materials for secondary rechargeable battery, (iii) Strategies to develop materials for secondary rechargeable battery |
EME7008 | 박막공학개론 | Introduction to thin film engineering | 박막공학은 현대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는 박막 공정의 원리 및 응용에 대해서 학습을 한다. | The thin film engineering is one of important technique in current semiconductor industry. From this lecture, students learn the principle and applications of thin film process engineering in current semiconductor industry. |
EME7009 | 박막공학특론 | Advanced thin film engineering | 박막공학은 현대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나노 소재들의 증착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나노 소재 증착 방법을 배운다. | The thin film engineering is one of important technique in current semiconductor industry. From this lecture, students learn how to grow new nanomaterials via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thin film deposition for the various nanomaterials. |
EME7010 | 응용화학특론 | Special Topics in Applied Chemistry | 현대화학 분야에서 핫이슈들 중 특정 분야에 대한 주제별 논문강독, 연구사례 분석 또는 관련 실험실습을 통한 기초 이론습득 및 연구법을 제공. | This course will cover the fundamentals of contemporary applied chemical sciences with an emphasis on the state-of-the art technology in the chem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It includes the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type of nano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
EME7013 | 전지공학특론 | Advanced Lecture for Battery Science and Engineering | 본 강의는 리튬이온 배터리, 리튬-공기 배터리를 포함하는 리튬 배터리용 전극 물질의 역사에 대해서 다룬다. 일차전지와 다양한 이차전지의 응용에 관해서 논의한다. 또한, 전극물질의 최근의 개발과 전망에 대해 설명한다. | This lecture will deal with the history of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lithium air battery. Furthermore, recent accomplishments and future prospect in this area will be also introduced. |
EME7014 | 에너지저장소재및시스템 | Energy Storage Materials and System | 에너지 문제점과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2차전지와 같은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소자의 원리 및 특성을 교육한다. 아울러 에너지 전환 소자에서의 물질전달 현상의 응용 및 중요성을 교육한다. | Energy issues and explain the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and dye-sensitized solar cells, organic solar cells, fuel cells and rechargeable batteries, such as the principles of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devi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training. In addition, the mass transfer phenomena in energy conversion devi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application to education. |
EME7016 | 에너지재료세미나 | Seminars on Energy Materials | 새로운 에너지기술은 새로운 에너지재료를 요구하며, 새로운 재료가 등장하면 한 단계씩 전진한다. 에너지재료는 에너지의 변환, 수송, 저장, 이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특수하고도 혹심한 조건들을 다 만족시켜야 하며 동시에 경제성을 가져야 하므로 그 조건에 맞는 재료의 개발이란 매우 어려운 것이고, 많은 기술투자와 긴 리드타임을 필요로 한다. 본 강의에서는 기술의 근간이 되는 에너지 소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현재까지의 흐름과 미래 에너지 사회를 위한 소재개발까지 학생들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
New energy technologies requires new materials and energy requirements and at last advances step by step. Also Energy materials meet the tough conditions on conversion, transport, storage and use of that with the economic feasibility so that is very difficult to development and needs plenty of time. The purpose of this curriculum is understanding about energy materials which underlying facilities of energy on past and future. |
EME7026 | 연료전지특론 | Special Topics in Fuel Cell |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와 물과 열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이며 전기생산 효율이 높고 발전 시 공해배출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연료 전지는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며, 또한 CO2의 배출량이 거의 없고, 소음도 매우 적어 공해 배출 요인이 거의 없는 무공해 에너지 기술이다. 본 강의에서는 연료전지의 구성과 특징에서 기술 현황과 발전전망을 학습하여 원리 이해를 돕고자 한다. |
A fuel cell is an electrochemical reaction that generates water, heat and power with electrochemical method on oxygen and hydrogen which have advanteges on high efficiency of electric power and no pollution at the time of generation. Fuel cells are highly efficient power generation method and also there is no CO2 emissions and less noise pollution, The purpose of this curriculum is understanding about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technology status and development prospects. |
EME7029 | 분자및재료계산 | Materials Simulation | 1) 분자의 구조, 전자구조, 물성, 오비탈 및 전하분포 해석, 반응 에너지 계산. 2) 고체 재료의 밴드구조 및 상태밀도, 도핑, 흡착, 원자의 확산 계산. 3) 유기발광소재, 촉매, 배터리 전해질 및 전극 모델링. |
1) Molecule: Structure, electronic structure, property, orbital & population analysis, reaction energy. 2) Solid: Structure, band structure, density of states, doping, surface adsorption, atomic diffusivity. 3) Organic electroluminescence, catalyst, and battery materials simulation |
EME7030 | 유기일렉트로닉스 | Advanced Inorganic Chemistry(2) | 본 강의는 유기 일렉트로닉스의 기본적인 개념과 메커니즘 그리고 특정 주제를 다룬다. 무기 반도체 성질의 이해를 기본으로 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 (OLED), 유기 태양전지 그리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같은 유기 반도체의 응용에 중점을 둔다. | This course gives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basic operating mechanism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 organic photovoltaic cells, and related functional materials. |
EME7030 | 전자재료공정 | Electronic Materials and Processing | 본 강의에서는 전자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본 공정인 박막증착공정과 패터닝 공정을 강의한다. 우선 진공기술과 이를 바탕으로한 진공 박막 증착공정에 대한 원리와 실습을 시행하며, 패터닝 공정의 기본인 광식각공정에 대한 원리와 실습을 시행한다. 또한 최신 박막 증착 및 패터닝 공정인 다양한 인쇄공정에 대한 공정 원리에 이해를 제공한다. | This lecture will first introduce the basic manufacturing processing for electronic devices. The basic principle and understanding of vacuum based thin film deposition techniques and photolithograpy techniques will be given. In addition, new manufacturing processing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inkjet printing, gravure offset printing, and nanoimprinting will be discussed. |
EME7033 | 나노재료특론 | Advanced Lecture for Nanomaterials | NT(Nano technology), BT, IT 이 세가지 기술은 인류가 앞으로 미래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중 NT는 다른 두가지 기술의 기저가 되는 것으로서 앞으로 Issue가 될 수 있는 “난치병 치료,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축, 화석 에너지 고갈 해결, 환경 오염 해결” 등 인류의 중요 과제를 풀어갈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금번 강의에서는 나노 기술에 사용되는 재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지배하는 원리를 배울 것이다. | Nanotechnology is very important technology for the future of human beings. This lecture provides the advance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for the state-of-the-art nanomaterials and nanotechnology. |
EME7034 | 전지특론 | Advanced Lecture for Battery | 본 강의는 전기화학의 기본개념에 대한 소개 후 battery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기화학적 방법에 대해서 토론한다. 그리고 학부 전기화학의 심화로서 각 전지에서의 case study를 통해 전기화학을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This lecture introduces various electrochemical methods and theories for secondary battery. Through case studies on various electrode materials,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clearly understand advanced electrochemistry. |
EME7035 | 화공재료특론 | Advanced Materials Science for Chemical Engineer | 본 강의는 화학공학자가 알아야할 재료공학의 내용에 대한 심화적인 내용을 강의하고자 한다. 특히 고분자 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화학적 내용과 이의 물성에 대해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분자 재료를 바탕으로 하는 전자소재와 소자에 대한 최신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 This course gives a fundamental and advanced understanding o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for chemical engineers. In particular, science and technology on physical chemistry of polymer materials and its properties are mainly given. Furthermore, a basic machinism on electronics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polymer materials as active layer and insulators, will be covered in this course. |
EME7036 | 나노구조기술과응용 | Technique and Applications of Nanomaterials | 나노물질은 양자효과와 나노사이즈 효과 때문에 벌크에서 나오지 않는 훌륭한 성질을 나타낸다. 본 강의는 나노 물질에 대한 소개와 다양한 응용 기술에 대한 소개로 이루어진다. 나노 구조 물질 연구 근간이 되었던, 1차원 구조인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소개를 중심으로 성장 및 광학적 분석 (Raman spectroscopy, Photoluminescence 등등), 그리고 전자소자 응용에 대해서 강의가 될 것이다. 그리고 2차원 구조인 그래핀 연구에 대해서도 소개를 할 것이다. | Nanomaterials have uniqu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mpared to bulk materials due to quantum confinement effect and nano-size effect. The lecture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of nanomaterials and various their application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carbon nanotube, which is one dimensional material with nano-size, it is discussed about the synthesis, optical analysis (Raman spectroscopy, photoluminescence, and so on),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In addition, it is introduced the graphene research which is two dimensional material. |
EME7037 | 에너지공학 | Energy Engineering | 에너지의 종류와 이들 에너지의 변환에 따른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기존의 공정과 연계하여 검토하고, 에너지 이용에 기본이 되는 열역학 법칙에 대한 이해와 실예에 각 법칙을 적용하여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와 에너지 효율을 계산한다. 또한 화석에너지의 한정성에 비추어 대체에너지의 생산원료로써 이용되어야 할 이유와 이용방법 및 분야에 대해 검토하고 화석연료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환경오염문제를 검토하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청정 기술에 대하여 이론과 실제장치를 통하여 이론의 응용성을 파악하며 화석연료에 대체할 수 있는 미래의 청정에너지 생산 방법과 기술에 대하여 검토한다. | These kinds of energy and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energy conversion for a way to maximize the existing process in conjunction with the review, and energy use is fundament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laws of thermodynamics and the law applicable in each Examples include the energy required for the process and energy efficiency is calculated. In addition, in light of the limited fossil energy alternative energy sources to be used as a reason for the production of raw materials used and the method and areas for review and are caus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an avoid this problem, review the case against the clean technology and the actual device is identified by the applicability of the theory can replace fossil fuels in the future of clean energy production methods and technologies are investigated. |
EME7038 | 고급에너지소재 | Advanced Energy Materials | 본 강의는 에너지 저장용 나노재료의 합성방법과 특성을 다룬다. 각각 다른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용 재료의 차원을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저장용량 또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강의에서는 저장용 재료의 합성방법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재료의 합성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에 관해 논의한다. | This lecture deals with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anomaterials for energy storage or conversion. Herei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structure of nanomaterials will be correlated. |
EME7039 | 에너지소재특론 | Advanced Lecture for Energy Materials | 에너지 소재에 대한 소개 및 이해. 유기발광소자, 슈퍼커패시터, 배터리 소재 등 다양한 에너지 소재에 대해 다룬다. | This lecture introduce various energy materials such as organic electroluminescence, supercapacitor, and battery materials. |
EME7040 | 고급무기화학(1) | Advanced Inorganic Chemistry(1) | 양자론을 기반으로 한 무기화학ㆍ원자의 구조, 대칭과 군론, 화학결합, 반응성, 고체상에서의 화학, 화학적 힘, 용액상에서의 화학, 스펙트럼 해석, 반응 메커니즘 규명, 금속과 비금속, 할로겐과 불활성 기체, 주기성 ? 해설을 통해 학부에서 배운 기초 무기화학적 지식을 한 단계 높여, 대학원 연구에 필요한 수준까지 무기화학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한다. |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based on quantum chemistry: Atomic structure, symmetry and point group, chemical bonding, reactivity, solid-state chemistry, chemical force, solution chemistry, spectra analysis, reaction mechanism, metal and non-metal, and periodicity. |
EME7041 | 전자재료특론 | Advanced Eletronic Materials | 본 강의에서는 전통적인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을 기반으로한 전자재료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또한 최근에 새롭게 연구되고 있는 최신 전자재료인 유기전자재료, 산화물 전자재료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이들의 구조, 전기적 물성 및 물리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된다. | In this course, we will review the conventional inorganic electronic materials such as silicon and introduce the next generation electronic materials such as organic polymers and oxide semiconductors. Especially, the new electronic materials are suitable for printing process, which lower the cost and enable customers to fabricate circuits at home. |
EME7042 | 화공열역학 | Advanced Thermodynamics | 본 강의에서는 최신 재료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열역학 원리를 복습하고, 열역학적 관점에서 전기화학반응, 전자반응 등을 포함한 각종 반응을 설명할 예정이다. | This class deals with the important theory and principles of thermodynamics, which is being used for the state-of-the-art materials for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thermodynamic point of view, some of important reactions will be explained. |
EME7043 | 트랜지스터소자물리 | Device Physics in Thin Film Transistors | 본 강의는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MOSFETs소자의 역사 및 소자물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물리지식을 바탕으로 최근에 개발된 소자인유기박막트랜지스터, 산화물박막트랜지스터의 구동원리, 소자물리, 특성 측정기술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진행된다. | This lecture will first introduce the basic theory of classical silicon MOSFETs with an overview of their development history and the current limitations. Based on this knowledge, the device physics of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will be presented covering two major parts of charge transport mechanism and operating principles. Finally, the related electrical characterizations will be detailed explained. |
EME7044 | 재료전기화학 | Electrochemistry for Materials | 본 강의는 Fuel Cell, Battery, Solar Cell 등에 응용될 수 있는 기본 전기화학원리를 다룬다. 본 강의에서는 전극, 전해질, 계면, 전기화학 측정법 등을 다룰 것이다. | This class deals with electrochemical principles of the electrochemical energy devices and systems such as fuel cells, batteries & solar cells and so on. It teaches the electrode, electrolyte, and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s, double-layer structure & adsorption, electroactive layers & modified electrodes, electrochemical instrumentation, scanning probe techniques, spectroelectrochemistry, and photoelectrochemistry. |
EME7045 | 융합소재세미나 | Seminar for Advanced Materials | 본 강의에서는 재료 각 분야에서 가장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를 소개하고, 해당 연구 분야의 향후 전망에 대해 토의할 것이다. | This class introduce the most popular materials and application area for graduate students. The prospect for each area will be also given. |
EME7046 | 고체표면및계면학 | Surface and Interface of Solids | 본 강의는 고체 재료의 표면 및 계면의 특성을 좌우하는 각종 원리 및 이론에 대해 공부하며, 해당 내용이 사용되는 응용분야에 대해 소개한다. | This lecture deals with the fundamental theory and principles determining the surface and interface properties of solid.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the lectured contents will be also introduced. |